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개정교육과정에서 수학은 어떻게 바뀌었나?

by 모모는멋쟁이 2025. 11. 13.

2025년부터 학교 현장에 새롭게 적용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수학 교과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과 함께 학생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과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개정 수학 교육과정의 핵심 변화를 단계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적용 시기와 개정 배경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25학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에 본격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전 교육과정보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융합 사고력을 강조하며, AI와 데이터 분석 시대에 맞춘 수학의 실용화가 핵심 목표입니다.

  • 2024년: 초등 1~2학년 적용
  • 2025년: 초등 3~4학년, 중1, 고1 적용
  • 2026~2027년: 전 학년 순차 적용

 

2. 중학교 수학, 이렇게 달라졌어요

 

중학교 과정은 고등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단원 배치가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또한 통계와 논리적 사고력 관련 내용이 강화되었습니다.

  •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활용 단원 삭제
  • 대푯값(평균, 중앙값, 최빈값) 개념이 중3 → 중1로 이동
  • 증명 단원이 다시 추가되어 논리적 사고력 강조
  • 이차함수의 최댓값·최솟값을 중3에서 학습
  • 상자그림(box plot) 통계 단원 신규 도입

 

3. 고등학교 수학, 과목명과 내용이 확 바뀐다

 

고등학교에서는 고교학점제에 맞춰 학생이 진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 세분화되었습니다. 특히 과목명과 단원 구성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과목 구조 변화

  • ‘수학(상)·수학(하)’ → 공통수학Ⅰ·Ⅱ
  • ‘수학Ⅰ’ → 대수(Algebra)
  • ‘수학Ⅱ’ → 미적분Ⅰ
  • ‘미적분’ → 미적분Ⅱ

단원 변화

  • 행렬(Matrix) 개념 재도입
  • ‘원순열’ 단원 삭제
  • ‘공간벡터’ 단원 복귀
  • 확률·통계에서 모비율·표본비율 개념 추가

4. 왜 이런 변화가 필요할까?

 

AI와 데이터 시대에는 단순 계산보다 수학적 모델링 능력데이터 해석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개정은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 중심 학습, 그리고 디지털 기반 수학 활동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고교학점제 시행으로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맞는 수학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고, 교사는 학생 개별 수준에 맞는 맞춤형 지도가 가능해졌습니다.

5. 학생·교사를 위한 학습 전략

  • 중학교에서 바뀐 단원(예: 이차함수, 통계)을 복습하며 고등 진학 대비
  • AI·데이터 관련 개념(행렬, 확률 등)을 실생활 사례로 연결
  • 진로에 맞는 수학 과목(예: 공학 → 미적분, 사회과학 → 확률통계) 선택
  • 개념 중심 수업으로 단순 암기보다 이해 기반 학습 강화

 

6. 마무리하며

 

2025 개정 수학 교육과정은 학생 주도적 학습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수학 역량을 함께 길러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교사와 학생 모두 변화의 흐름을 잘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수학은 더 이상 어렵고 딱딱한 과목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언어가 될 것입니다.